숲 속의 방(강석경)
[줄거리]
가족에게 알리지도 않고 소양이 휴학을 한 사실에 대해 가족들이 성화를 부리는 데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결혼을 앞두고 다니던 은행을 그만둔 큰언니 미양은 소양의 방황을 추적한다. 그 과정에서 소양의 친구들인 명주, 경옥, 희중 등을 만나고 소양의 일기장을 훔쳐 보기도 한다. 한편, 소양은 계속 외박하거나 늦은 귀가로써 식구들에게 반항을 한다.
어느 날 소양의 귀가를 기다리던 미양은 혜양과 같이 종로로 나간다. 그곳에서 소양이 잘 간다는 카페에 들어가 실내 인터폰을 통해 세 명의 남학생과 합석하게 되고 그들을 통해 종로의 밤거리를 배출구로 여기는, 일부 젊은이들의 모습을 엿보게 된다.
집에 와 보니 외박했던 소양이 아버지와 한 차례 소동을 벌인 뒤 아무런 표정을 보이지 않는다. 미양은 계속 명주를 만나 소양의 학교 생활에 관하여 얘기하고 수첩에서 소양의 남자 친구인 희중의 전화 번호를 찾아 만나지만 별다른 소득을 얻지 못한다.
그리고 며칠 동안 소양은 어느때 보다 평안하게 보내다가 미양의 함진아비가 오던 날 저녁 다시 외출해 버린다. 소양의 일기장을 읽은 미양은 극도의 불안에 싸여 종로로 나간다. 지난번 카페에서 만났던 남학생들과 부딪쳐 그들의 '큰 껀수' 올리는 데 자금 5,000원을 대준다. 그러나 그 돈이 중년 남자에게 데려갈 여학생을 낚는 데 쓰여지는 것임을 알고 채 놀라기도 전에 그들이 낚아 차에 태우려는 여대생이 소양임을 알고 말리려다 소동을 벌인다.
소양은 울면서 인파 속으로 도망쳐 버리고 허탈과 놀라움에 지친 미양은 무심하게 디스코테크에 들어간다. 거기에서 상하지 않은 순수한 모습의 소년을 만나, 함께 새벽까지 거리를 돌아다니다 새벽에 돌아온다.
결혼식을 올린 미양은 남편 최 대리와 함께 꿈같은 신혼 여행을 마치고 친정으로 돌아온다. 그러나 그날 밤 미양은 악몽으로 잠을 깨어 화장실에 가려고 방을 나서는데, 어디서 비릿한 내음이 온 거실에 끼쳐 온다. 떨리는 손으로 소양의 방문을 열었을 때, 붉게 물든 방바닥에 검은 옷을 입은 소양이 쓰러져 있었다. 붉은 지도 위의 혁명가처럼 피가 배인 노트에는 절망적인 낙서가 쓰여 있었다.
[인물의 성격]
소양 - 심판하고 단죄하려는 성격이 강한 여대생. 작품 중 역할은 참혹한 방황을 통해 현실의 허위성을 고발하는 역할을 담당함.
미양 - 이 소설의 화자. 결혼을 앞둔 소양의 큰언니. 소양의 고통과 외로움을 이해하지만 스스로 출혈할 수 있는 저항성을 갖지 못하고 스스로 기성질서의 틀 속에 편입되어 버리는 이중적 인물임.
할머니 - 퇴물유한계층. 쓸모없는 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교회에 아주 열성이고 또 주책없는 몸치장을 한다.
아버지 - 젊은 세대와 갈등을 일으키는 기성세대를 대표하는 인물. 전쟁 체험 세대이며, 경험을 제일주의로 여기는 보수적 현실주의자임.
어머니 - 개인적 지성주의자. 잔정이 없고, 수줍음을 타고, 이기적이고, 유아적 성향을 지닌 인물.
명주 - 소양의 친구로, 사회적 정의를 실현하는 데 바쳐진 젊음이다. 운동권 학생의 입장을 대변하는 인물로, 사회의 불평등에 대하여 철저한 의식을 가지고 있음.
경옥 - 소양의 친구로, 이기적 삶의 양식을 지닌 소유자이다. 어설픈 윤리의식을 거부하고 자기 편한 대로 삶을 유쾌하게 소비하려는, 소위 '종로통 아이들'의 생활양식을 대변함.
[핵심사항 정리]
* 갈래 : 중편소설
* 배경 : 서울
* 시점 : 1인칭 관찰자 시점
* 주제 : 현대인의 방황과 좌절
'§미술을 말한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춘화님의<인생> (0) | 2005.08.22 |
---|---|
한용운님의 <인연설> (0) | 2005.08.21 |
비밀의 문(김내성) (0) | 2005.08.08 |
병풍에 그린 닭이(계용묵) (0) | 2005.08.08 |
인간문제(강경애) (0) | 2005.08.08 |